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elect()
- 대칭형 알고리즘
- AES
- filter()
- mutate()
- proc contents
- dplyr
- sample_n()
- distinct()
- groupe_by()
- arrange()
- samp;e_frac()
- summariz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4)
Gae Ko's Blog
KEEP 과 DROP 옵션 keep 옵션은 특정변수만을 남기고 데이터셋 생성 drop 옵션은 해당 변수들을 제외한 데이터셋이 생성 예시) ==사진==
R 데이터프레임 결합 : rbind( ), cbind( ), merge( ) - 함수 비교 (1) 행 결합 (위 + 아래) : rbind( A, B) rbind는 row bind 의 약자 위의 행결합 rbind()를 하기 위해서는 결합하려는 두 개의 데이터셋의 열의 개수와 속성, 이름이 같아야만 함 만약 맞지 않으면 맞지 않다고 에러메세지가 뜸 ==사진== (2) 열 결합 (왽쪽 + 오른쪽) : cbind( A, B) cbind는 column bind의 약자 cbind()도 결합하려는 두 데이터셋의 관측치가 행이 서로 동일 대상이여야하고, 행의 개수도 서로 같아야만 함 마찬가지로 맞지 않으면 맞지 않다고 에러메세지가 뜸==사진== (3) 동일 key 값 기준 결합 : merge( A, B, by='key..
통계적 유의성은 모집단에 대한 가설이 가지는 통계적 의미를 말한다.다시 말해서, 어떤 실험 결과 자료를 두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라고 하는 것은 확률적으로 봐서 단순한 우연이라고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의미가 있다는 뜻.반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라고 하는 것은 실험결과가 단순한 우연일 수도 있다는 뜻 가설검정에서 통계값과 연구자가 설정한(유의수준)을 비교 및 판단하여 귀무가설을 기각할 때, 연구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라고 한다. 다만, 검정통계량은 표본 크기의 함수이므로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검정통계량의 값은 커져서 실질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이때의 오류는 1종 오류가 된다. 즉, 통계적 유의성은 오류가능성을 동반한다. (출처:위키백과)
통계학에서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모형 혹은 모델이라고 부르는데 통계분석에서는 모든 모형은 모형 자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는 지표가 존재한다.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에서는 R Square값이 바로 회귀모델 자체에 대한 통계적 검증 지표인 것이다. R Square는 R을 제곱한 수치리다. SPSS에서는 R Square와 Adjusted R Square를 동시에 보여주는데 Adjusted R Square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의 분석 로직상 R Square를 실제보다 크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 R Square를 보수적으로 조정한 수치이다. 분석에 사용된 표본크기가 200명 이상인 경우에는 Adjust..
플롯 그리기 : proc gplot [proc gplot 형식] PROC GPLOT DATA = 데이터셋이름;PLOT X*Y = C;RUN; C는 plot의 점모양을 고르는 기능으로 숫자를 넣어주는데 1은 별표, 2는 동그라미 3은 ... 이런 식이다. /option(s) SAS command 설명 LEGEND=LEGENDn 산점도와 함께 출력될 범례 지정 OVERLAY 여러 개의 그림을 겹쳐서 그림 HREF or VREF 수직(수평)참조선 LH(LHREF) LV(LVREF) = line type 수직(수평)보조선을 그리는 선종류 지정 HAXIS or VAXIS = a to b by c 수평(수직)축 기준점 지정 (축의 tick을 a에서 b까지 c간격으로 그림) = AXISn n번째의 AXIS로 정의된 ..
input 문을 사용해 cards옵션으로 다음과 같이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때에 데이터가 누락되서 데이터셋에 저장된다. 이는 input문은 기본적으로 한번에 한 줄씩 읽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런 경우에 @@를 붙여주면 입력한 데이터가 한 줄에 여러 개가 와도 지정한 변수대로 집어들어가게 된다. 변수 2개로 하면 ?! 변수가 2개 이므로 2개씩 !
[탐사적데이터분석] 9월 25일 sas 배운거 정리빨리 정리해야해서 머리속으로 스치는 대로 적어 본 글 ㅎㅎ 뒤죽박죽 1. do loop 에 대해서 예제를 보며 이해해보자 위 코드를 실행시켜보면 log창에새로운 변수 year 와 month 그리고 x가 생성될 것임을 미리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관측치는 행의 수를 뜻하므로 x의 마지막 값을 생각해보면 12개가 5번씩 반복... 60 새로운 변수가 시작값을 주어지지 않았을 경우 자동으로 지정되는 값이 1임을 알 수 있다. 데이터 a를 생성결과 > 생성된 데이터 a의 모양은 다음과 같으며 데이터 a는 한개의 변수에 3개의 관측치를 갖고 있다.다음처럼 코드를 추가하면 결과 > x=1 일 때, i= 1, 2, 3 x=2 일 때, i= 1, 2, 3 x=3 일 ..
문제를 눌러보니 흠...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면 오마갓 너무 길다 ! ㅇ____ㅇ- String.fromCharCode()함수는 여러개의 유니코드를 문자열로 변환해주는 함수- eval()함수는 string형태의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를 동적으로 실행시켜주는 함수 WorkTimeFun의 값을 eval함수로 실행을 시킨다니까 일단 WorkTimeFun값을 알아야하므로 콘솔창에 실행해보았다. 헉! WorkTimeFun는 하나의 문자열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였다...!! 왜 eval()함수가 나왔는지 자동으로 이해가 되었다.eval(WorkTimeFun)라는 코드는 저 소스코드를 실행한다는 소리이다. 아마 소스코드안에 password에 관한 힌트가 나올 것이다. if문을 보니 ck값이 어쩌고 와 같으면 pa..
문제를 보니 이상하게 생긴 이 별은... 뭘까 ㅎ 무튼 소스코드를 열어 보았다. 뭐가 되게 많다.... 어려워 보인다.... 소스코드 분석에 앞서서 모르는 코드들이 너무 많았다. ㅠㅠ모르는 코드 하나하나 다 찾아보면서 우연찮게 문제페이지에서 키보드를 누르면 누른대로 오색달록한 *이 입력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이게 뭔 일일까.... 다시 코드분석하다가 이건 아니다 싶어서 중간부분을 쓰윽 보는데 17줄에서 cd가 124일 때, 어디론가로 페이지가 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ocation.href="이동할 주소")페이지가 넘어간다니까 그 페이지에서 뭔가 답이 나올거 같았다. 일단 아까 모르던 소스코드에서 구글링한 것들 중에서 17줄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만 나열해보겠다.- onkeypress 는 ..
문제를 눌렀더니 다음과 같았다. ctrl+U를 눌러 소스창을 보았다. 처음 보는 소스들이 보여서 구글링해보았다.- var 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 선언시 사용한다.- document.URL 은 현재 페이지의 URL을 의미- indexOf()메소드 는 문자열에 지정된 값이 처음 나타나는 위치를 변환하고, 검색대상 값을 찾을 수 없다면 -1을 반환 위 사실을 바탕으로 소스코드를 분석해보면 10줄 :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폼으로 값을 집어넣고 버튼은 누르면 ch()함수가 실행된다. 12-19줄 : 함수 ch()에 대한 설명으로 14줄 : 변수 ul을 선언과 동시에 document.URL 을 사용해 현재 URL로 초기화. string형태15줄 : indexOf()메소드를 이용해 ul에서 ".kr" 의 시작위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