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amp;e_frac()
- AES
- proc contents
- filter()
- summarize()
- groupe_by()
- select()
- distinct()
- mutate()
- sample_n()
- 대칭형 알고리즘
- dplyr
- arrang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4)
Gae Ko's Blog
이번 겨울방학에 암호팀에 들어와서 현대암호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다. ※ 팀 목표1. 블록암호의 이해(기초 공부)2. 블록암호 구현(openssl 이용하여) 2-1. 블록암호 알고리즘별 암호화 시간 비교3. 블록암호 운영모드 구현 3-1. 운영모드별 jpg암호화후 결과 비교 4. 3까지 한 후 추가 목표 설정 후 공부 팀장이 방향을 제시해주신 대로 스스로 공부하여 알게된 것을 정리하여 이 블로그에 글을 올릴 예정이다.아자아자 ㅎㅇㅌ !
검정력함수 모수의 함수로서 모수의 값에 따른 귀무가설을 기각할 확률에 대한 함수 귀무분포 귀무가설이 참일 때의 검정통계량의 분포 유의확률 (P-value) 귀무가설이 참일 때,검정통계량의 값이 표본으로부터 관측된 값과 같거나 H1을 지지하는 쪽으로 더 치우칠 확률 따라서 주어진 유의수준보다 P-value가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 일반적으로 주어진 유의수준에 해당하는 기각역을 제시하기 보다는 유의확울을 제시하는 것이 의사결정자에 따른 유의수준의 차이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더 바람직하다고 봄.
* 데이터 탐색(히스토그램, 상자그림)을 통해 자료분석을 하게 될 경우, 구분점을 발견하게 되면 구분점을 중심으로 나눠서 분석한다.이상한 집단으로 생각되는 값은 삭제하지 않고 별도로 추가분속을 실시한다. * 정규성 검토 시 일직선이다 아니다 만을 생각하지 말고 이상치 같은 아이들을 나눠서 분해하여 생각해보자→ 구분점을 발견하자→ 구분점을 기준으로 구간화하여 분석하자
두 집단의 분포 비교하기 (T검정)T-Test의 조건 : 정규성 & 등분산성 >> SAS code 1. 데이터 가져오기 PROC EXPORT 2. 데이터 셋 내의 전체 속성 보기PROC CONTENTS 변수들에 대해서 알 수 있는 프로시저 (결과 중 일부분) 여기서 예제 데이터는 지역(region)에 따른 사교육비(edu)에 대한 데이터 지역은 각 지역마다 숫자로 표시 (ex. 11번=서울, 39번=대전) // PROC CONTENTS 란?See concepts for the CONTENTS Statement. (SAS 도움말 : http://documentation.sas.com/?docsetId=proc&docsetVersion=9.4&docsetTarget=n0v6kjzws1u302n1u3pt7rp..
여러가지 파일들을 SAS로 불러와 핸들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들이 택스트파일과 엑셀파일이다.전체적인 틀은 다음과 같다.
주소창으로 보니 file값에 hello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화면엔 hello world가 출력되어 있다. 화면에 있는 세 개의 파일 중 hello.txt를 열어본 거임을 유추할 수 있다.그럼 나는 password가 알고 싶으니까 passwor.php를 열어보면 될 거 같다. 그래서 file값으로 password를 넣어봤는데 아무런 변화없이 화면에 hello world가 출력된다.[ 입력하여 집어넣은 file값 → 열리는 파일 (결과) ] hello → hello.txt hello.txt → hello.txt index.php → hello.txt password.php → hello.txthello → hello.txt 를 통해 입력하여 넘겨준 file값에 '.txt'라는 문자를 자동으로 붙여준다고 ..
- XSS공격이란?XSS(Cross-site Scripting)는 웹 상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방법의 일종으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넣는 기법을 말한다. 공격에 성공하면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삽입된 코드를 실행하게 되며, 보통 의도치 않은 행동을 수행시키거나 쿠키나 세션 토크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한다.(참고 : http://brownbears.tistory.com/250)이 문제는 이처럼 스크립트문을 올려서 삽인된 코드를 실행하게 하는 문제이다.주어진 스크립트문은 로 그냥 통째로 넣어봤다.이를 통해 GET방식으로 값을 넘겨주며 특정 문자를 필터링하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무슨 문자를 필터링하는 지를 유추해보기 위해 하나하나 해보았다.해보니 영문자가 연속으로..
- pref_match( ) : 정규표현식 매치를 수행 preg_match( string $pattern, string $subject ) pattern에 주어진 정규표형식을 subject에서 찾는다. - 정규표현식 " " : 패턴을 만들 때 들어가는 기본형식/ : 처음과 끝을 나타냄[ 집합] : 집합에 포함되는 임의의 문자 하나 { n } : 앞에 문자를 n번 반복* : 없거나 1개 이상. : 임의의 한 문자 (정규표현식 참고 : https://docs.microsoft.com/ko-kr/sql/relational-databases/scripting/search-text-with-regular-expressions) 문제를 보니 val값을 GET방식으로 입력받는데 preg_match함수를 통해서 조건에..
SAShttp://www.mysas.co.kr/SAS_tiptech/c_tiptech.asp?B_NO=2024&gotopage=9&cmd=content
1. 편차 (Deviation)관측치가 평균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 즉 평균과 관측치와의 차이'표준편차(SD)'는 이러한 편차들의 평균값으로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표준편차 (SD, Standard Deviation)- 관측값들이 집합내에서 평균과 어느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음- 모표준편차 : - 표본표준편차 : 2. 오차 (Error)예측하기위하여 추정된 값과 실제값의 차이, 즉 예측값이 정확하지 못한 정도모집단에 대해 모르는 경우 표본집단의 평균과 모집단의 평균에는 sampling error가 발생한다. 이때 모집단의 평균과 가까워지기 위해 여러번의 sampling을 통해 각 표본집단의 평균들로 이루어진 표본평균분포를 얻으면 이 분포의 표준편차가 '표준오차(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