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amp;e_frac()
- select()
- filter()
- distinct()
- proc contents
- sample_n()
- groupe_by()
- summarize()
- AES
- mutate()
- dplyr
- arrange()
- 대칭형 알고리즘
- Today
- Total
Gae Ko's Blog
[통계] 편차 / 오차 / 잔차 본문
1. 편차 (Deviation)
관측치가 평균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 즉 평균과 관측치와의 차이
'표준편차(SD)'는 이러한 편차들의 평균값으로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
표준편차 (SD, Standard Deviation)
- 관측값들이 집합내에서 평균과 어느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음
- 모표준편차 :
- 표본표준편차 :
2. 오차 (Error)
예측하기위하여 추정된 값과 실제값의 차이, 즉 예측값이 정확하지 못한 정도
모집단에 대해 모르는 경우 표본집단의 평균과 모집단의 평균에는 sampling error가 발생한다. 이때 모집단의 평균과 가까워지기 위해 여러번의 sampling을 통해 각 표본집단의 평균들로 이루어진 표본평균분포를 얻으면 이 분포의 표준편차가 '표준오차(SE)'가 된다. 이렇게 표본집단이 얼마나 모집단을 잘 대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표준오차 (Standard Error)
- 표본추출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량의 정도를 나타냄 (표준오차는 확률변수의 추정량의 표준편차이다. BY 교수님)
- 표본이 모집단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냄
- 표준오차가 작을수록 표본의 대표성이 높다.
- 표본평균분포의 표준편차 :
3. 잔차 (residual)
평균이 아니라 회귀식 등으로 추정된 값과의 차이, 즉 추정된 값이 설명할 수 없어서 아직도 남아있는 편차로 편차의 일부분
(참고 : 위키백과 , http://canshot.tistory.com,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istech7 )
'통계 > 통계학에 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 통계적 가설검정이란(정의) (0) | 2018.02.26 |
---|---|
[통계] 가설검정 (0) | 2017.12.20 |
[수리통계] MSE (평균제곱오차) (0) | 2017.11.23 |
[통계] 오차제곱합 type1 와 type3 (0) | 2017.11.22 |
[통계] 통계적 유의성이란? (0) | 2017.10.07 |